-
즐기는 자가 승자다 * 문학, 수능국어, 상식, * 고등국어, 수능국어 학습 및 과외 문의 freeerror@hanmail.net 카톡 smila4
-
재미 없어도 재미 있고 싶다!
-
불안한 만큼 흥미로운
[따라만 와!] 20년 3월 시행 모의 기출 13번, 합성명사, 합성어
단어에는 단일어와 복합어가 있다. 단일어는 어근(語根)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복합어는 다시 합성어와 파생어로 나뉜다. 합성어는 어근+어근, 파생어는 접사+어근, 또는 어근+접사. ‘어근’은 단어를 분석할 때,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이 되는 부분이고, ‘접사’는 단독으로 쓰이지 아니하고 항상 다른 어근(語根)이나 단어에 붙어 새로운 단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접미사’와 ‘접두사’가 있다. '접두사'는 어근 앞에 붙는 것이고, '접미사'는 어근 뒤에 붙는 것이다. 어근은 복합어를 말할 때만 쓰이는 용어이다. 어간과 헛갈리지 말자. 어간은 용언의 활용에서 변하지 않는 부분이다. (변하는 부분은 어미. 예를 들어, 먹다, 먹으니, 먹고,... 에서 '먹-'은 어간, '-다, -으니, -고'는 어미. 합성..
2021. 5. 9.
적강화소, 적강, 화소, 모티프(motif)
고전 소설을 보다 보면 적강화소가 쓰였다는 말을 많이 보게 됩니다. 적강화소란 무엇일까요? 일단 '적강'부터 보십시다. '적강(謫降)'은 謫, '귀양갈 적'에, 降, '내릴 강'을 씁니다. '귀양가다'는 '유배가다'와 같은 뜻입니다. 즉 '적강'은 '귀양으로 내려가다'는 뜻이다. 화소(모티프, motif)는 서사 이론 용어입니다. 화소(話素)는 '이야기의 요소'라는 뜻인데요, 문학이나 예술 작품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주제, 내용 등을 말합니다. 예를 들자면, 영웅 서사의 화소 분석이 있겠습니다. 영웅서사는 개별 이야기별로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다음 7 가지 화소로 구성됩니다. 1. 고귀한 혈통 2. 기이한 출생 3. 비범한 능력 4. 어린 시절의 위기 5. 구조 6. 성인이 된 뒤의 위기 7. 위기를 극복..
2021.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