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 기>의 학습 내용은 얼핏보면 익히 아는 음운 변동의 4가지 유형에 대한 설명이다. 중요한 부분은 학습 내용의 끝 두줄이다. '낮'과 '한때'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면 교체와 축약이 일어나 '낮 한때[나탄때]'가 된다는 것.
학습 과제는 이처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할 때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두 가지 유형의 예를 ㄱ, ㄴ으로 제시했다. 문제에서 묻는 것은 ㄱ, ㄴ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음운 변동이 무엇인지 찾을 수 있느냐 하는 것.
ㄱ과 ㄴ 각각에 어떤 음운 변동이 있는지 살펴 보기 전에 슬쩍 선지를 보자. 선지에는 오직 두 가지 음운 변동만 제시되어 있다. 교체와 첨가. 그럼 교체와 첨가가 있는지만 살펴보자.
일단 ㄱ에서 보면 '다'가 '따'로 바뀐 것이 눈에 띈다. 교체다. '입'이 '립'으로 바뀐 것은 교체가 아니다. 첫소리(초성)의 'ㅇ'은 음가가 없이 모양만 맞춰 넣어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입'은 사실 초성자리가 비어 있는 상태. 거기에 'ㄹ'이 첨가된 것이다.
다음 ㄴ을 보면 일차로 '값'의 'ㅅ'이 탈락된다. 그 뒤 'ㅂ'이 '매'의 'ㅁ'에 영향을 받아 'ㅁ'으로 바뀐다. 교체다.
그러므로 ㄱ과 ㄴ에 교체가 공통적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이제 선지의 예를 보자. 선지 ①의 예는 '책 넣는다'이다. '책'의 'ㄱ'이 'ㅇ'으로 바뀌었다. 교체다. 답은 ①이다. (뒤의 '넣'의 'ㅎ'이 'ㄴ'으로 바뀐 것도 물론 교체다.)
*문제를 편하고 간단하게 푸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이 제 목표입니다. 시험에서 답이 확실하면, 뒤의 것은 보지 않아도 좋습니다. 시간이 부족하지 않다면 다 보셔도 좋겠고, 공부할 때는 당연히 다 따져봐야겠죠.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수능국어 > 문법 기출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라만 와!] 20년 3월 시행 모의 기출 13번, 합성명사, 합성어 (0) | 2021.05.09 |
---|---|
[따라만 와!] 20년 3월 시행 모의 기출 12번, 안은문장, 안긴문장, 관형절, 명사절 (0) | 2021.05.05 |
[따라만 와!] 21 수능 국어 문법 15번. 중세국어문법, 중세국어 문법 문제 푸는 법 (4) | 2021.04.30 |
[따라만 와!] 21 수능국어 14번. 안긴문장, 겹문장, 안은문장, 관형절, 주성분, 부속성분 (0) | 2021.04.25 |
[따라만 와!] 2021 수능 국어 문법 13번. 용언의 활용 (2) | 2021.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