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능국어35 향가, 향기롭기도 하지. 1. 향가의 뜻 물론, 향가의 '향'은 향기롭다는 뜻은 아니다. 鄕 (시골, 향) 바로 이런 글자이기 때문인데, 사실 이 글자는 고향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향토적' 참조 ppullan.tistory.com/36?category=1003091) '향'이라는 말이 붙으면 중심이 아닌 지방, 외국이 아닌 우리 것, 관에서 하는 공적인 것이 아닌 서민들의 것을 의미하게 된다. 하여 향가란 외국 것이 아닌 순수한 우리 노래를 의미한다. 2. 한문시 아니거든요~~ 향가거든요~~ 국문학을 순국문학(우리 글로 적은 우리 문학)과 한국한문학(한문으로 적은 우리 문학)으로 분류할 때도 향가는 순국문학으로 분류된다. 비록 생김새는...... 月下伊底亦 西方念丁去賜里遣 無量壽佛前乃 惱叱古音(鄕言云報言也) 多可支白遣賜立 誓.. 2020. 12. 22. 비언어적 표현 - 반언어적 표현 안녕하세요, 뿔난입니다~ 오늘 질문 받아서 생각난 김에 올립니다. 화법 부분의 내용인데 쉽고 간단하고 출제 빈도는 높지 않은 개념입니다만, 이 두 가지가 좀 헛갈리는 경우가 있어서요. 비언어적 표현은 非, 아닐 '비'를 씁니다. 즉 언어가 '아닌' 표현인 겁니다. 손짓, 발짓, 도리도리, 끄덕끄덕 같은 제스춰 따위입니다. 반언어적 표현은 半, '절반'이라는 뜻의 '반'을 씁니다. 즉 절반만 언어입니다. 그래서 항상 말과 함께 쓰여야 합니다. 주로 어조, 목소리의 크기, 목소리의 높낮이 등을 뜻합니다. 그럼 다들 열공하셔서 좋은 결과 거두시길. 2018. 6. 7. 목가적, 전원적, 향토적, 토속적 이 네 가지 개념은 뭔가 비슷한 느낌이 있습니다. 그런데 왜 각각 따로 있을까요? 뭐... 다르기 때문입니다. ㅎㅎ 원 뜻이야 검색 한 번이면 다 나오기야 합니다만... 그래도 보자면 목가적 : 전원의 분위기처럼 평화롭고 고즈넉한 전원적 : 도회지에서 떨어진 시골이나 농촌의 분위기를 지닌 것 향토적 : 시골이나 지방 또는 고향땅의 분위기를 지닌 것 토속적 : 그 지방의 고유한 풍속인 것 뭐... 일단 찾아보았으나 좀 알쏭달쏭하기도 하고 명확한 듯도 하고... 하나하나 다시 봅시다. 1. 목가적 '목가'는 목동의 노래입니다. 목동이 나오려면 어때야 할까요? 높은 곳에 드넓게 펼쳐진 푸른 초원, 하얀 양들이 한가롭게 풀을 뜯으며 거닐고 하늘은 푸르고 뭉개구름이 조금.... 뭐 이런 풍경 다들 연상되시나요? .. 2018. 6. 1. 통념 (feat. 방탄소년단) 수능 시험에서 선지 1, 2, 3, 4, 5에 여러분이 잘 모르는 단어가 나와 곤란하게 만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통념'은 어려운 단어는 아니지만 자주 쓰이는 편이고 또 다양한 글을 접해 보지 않은 학생들은 어렵게 생각합니다. '통념'은 그저 '사회적으로 널리 퍼진 생각'입니다. 보통은 '통념을 깨다' '통념에 저항하다'처럼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니까 통념은 사람들이 대개 그렇다고 믿지만, 그게 사실인지 아닌지, 진실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는 경우에 쓰입니다. 역사적으로, 그리고 현대에서도 놀라운 업적, 위대한 발견은 대개 통념을 깨고 세상에 나옵니다. ㅎㅎ 요즘 방탄소년단의 빌보드 1위 소식이 뜨겁습니다만. 동양인의 음악과 퍼포먼스가 미국에서 1위를 할 수 없다는 통념을 깨부순 쾌거라고 아니 할.. 2018. 5. 30. 이전 1 ···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