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즐기는 자가 승자다 * 문학, 수능국어, 상식, * 고등국어, 수능국어 학습 및 과외 문의 freeerror@hanmail.net 카톡 smila4
  • 재미 없어도 재미 있고 싶다!
  • 불안한 만큼 흥미로운
반응형

전체 글208

[전문] 현진건, 고향 고향 [그의 얼굴] 대구에서 서울로 올라오는 차중에서 생긴 일이다. 나는 나와 마주 앉은 그를 매우 흥미있게 바라보고 또 바라보았다. 두루막 격으로 ‘기모노’를 둘렀고 그 안에선 옥양목 저고리가 내어 보이며 아랫도리엔 중국식 바지를 입었다. 그것은 그네들이 흔히 입는 유지모양으로 번질번질한 암갈색 피륙으로 지은 것이었다. 그러고 발은 감발을 하였는데 짚신을 신었고 ‘고부가리’로 깎은 머리엔 모자도 쓰지 않았다. 우연히 이따금 기묘한 모임을 꾸미는 것이다. 우리가 자리를 잡은 찻간에는 공교롭게 세 나라 사람이 다 모이었으니 내 옆에는 중국 사람이 기대었다. 그의 옆에는 일본 사람이 앉아 있었다. 그는 동양 삼국 옷을 한 몸에 감은 보람이 있어 일본말로 곧잘 철철 대이거니와 중국말에도 그리 서툴지 않은 모양.. 2021. 6. 1.
[전문, 해설] 김춘수, 꽃 꽃 김춘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김춘수 (1922~2004) 시인은 참 많은 시를 남긴 시인이자, 문학비평가, 국문학자입니다. 그가 남긴 많은 시 중에서도 대중적으로 가장 유명하고 많이 알려진 시는 바로 위의 시, '꽃'입니다. '꽃'은 1952년 즈음에 창작되었으리라 추측되고 있습니다. 김춘수 시인은 50년대 모더니즘 시인으로 낭만적이기보다는 주지적인 시.. 2021. 5. 30.
[전문] 나도향, 뽕 뽕 1 안협집이 부엌으로 물을 길어 가지고 들어오매 쇠죽을 쑤던 삼돌이란 머슴놈이 부지깽이로 불을 헤치면서, 『어젯밤에는 어디 갔었읍던교?』 하며 불밤송이 같은 머리에 외수건을 질끈 동여 뒤통수에 슬쩍 질러 맨 머리를 번쩍 들어 안협집을 훑어본다. 『남 어데 가고 안 가고, 임자가 알아 무엇할 게요?』 안협집은 별 꼴사나운 소리를 듣는다는 듯이 암상스러운 눈을 흘겨보며 툭 쏴 버린다. 조금이라도 염량이 있는 사람 같으면 얼굴빛이라도 변하였을 것 같으나 본시 계집의 궁둥이라면 염치없이 추근추근 쫓아다니며 음흉한 술책을 부리는 삼십이나 가까이 된 노총각 삼돌이는 도리어 비웃는 듯한 웃음을 웃으면서, 『그리 성낼 거야 뭐 있읍나? 어젯밤 안주인 심부름으로 임자 집을 갔으니깐두루 말이지』 하고 털벗은 송충이 모.. 2021. 5. 30.
김만중, 구운몽 <9> 전문, 해설 / 두련사와 혼사를 논의하다, 처음부터 보실 분은 아래 링크 클릭! 2021.05.03 - [문학작품 읽고 뜯고 씹고 즐기기/김만중] - !김만중, 구운몽_ 전문, 해설 !김만중, 구운몽_ 전문, 해설 구운몽(완판 105장본) 구운몽 목록 양소유는 초나라 양치사의 아들이니 승명(僧名)은 성진이라. 팔선녀라. 정경패는 정사도의 딸이니 영양공주라. 이소화는 황제의 딸이니 난양공주라. 전채봉은 ppullan.tistory.com 각설이라. 양생이 장안에 들어가 숙소를 정한 후에 주인에게 물어 말하였다. “자청관이 어디에 있는가?” 주인이 대답하여 말하였다. “저 춘명문 밖에 있습니다.” 생이 즉시 예단(禮緞)을 갖추고 두련사를 찾아가니 연사는 나이 육십이 넘었다. 생이 들어가 재배하고 그 모친의 편지를 드리니 연사가 그 편지를 보고 눈물을.. 2021. 5. 28.
[전문] 채만식, 레디메이드 인생 레디메이드 인생 1 "뭐 어디 빈자리가 있어야지." K사장은 안락의자에 폭신 파묻힌 몸을 뒤로 벌떡 젖히며 하품을 하듯이 시원찮게 대답을 한다. 두팔을 쭉 내뻗고 기지개라도 한번 쓰고 싶은 것을 겨우 참는 눈치다. 이 K사장과 둥근 탁자를 사이에 두고 공손히 마주앉아 얼굴에는 '나는 선배인 선생님을 극히 존경하고 앙모합니다' 하는 비굴한 미소를 띠고 있는 구변 없는 구변을 다하여 직업 동냥의 구걸( 求 乞) 문구를 기다랗게 늘어놓던 P……P는 그러나 취직운동에 백전백패(百戰百敗)의 노졸( 老卒) 인지 라 K씨의 힘 아니 드는 한마디의 거절에도 새삼스럽게 실망도 아니한다. 대답이 그렇게 나왔으니 인제 더 졸라도 별수가 없는 것이지만 헛일삼아 한마디 더 해보는 것이다. "글쎄올시다. 그러시다면 지금 당장 어.. 2021. 5. 27.
도화원기, 물 위에 도화꽃잎이 뜬다면, 무릉도원 무릉도원(武陵桃原)! 이는 동양에서 낙원, 파라다이스, 이상향을 이르는 말이다. 복숭아에 얽힌 신화, 전설은 이미 있었으나 무릉도원과 같은 이상향, 그러니까 도원향은 도연명의 에 처음 나온다. 는 도화원기와 같이 나오는 도화원시에 대한 배경설명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 일단 도화원기의 내용을 살펴보자. 진(晉)나라 시절, 무릉 지방에 한 어부가 있었다. 어느 날, 물길 따라 배가 흘러가게 두고 있는데, 복사꽃(복숭아꽃)잎이 물에 동동 떠내려오고 있었다. (사실 도원명기에는 그냥 배가 흘러가다보니 홀연히 도화원에 이르는데, 후대의 많은 작품에서는 물에 뜬 꽃잎을 따라가곤 한다.) 꽃잎을 따라가 보니, 양쪽 강변에 가득 복숭아 나무가 줄지어 서서, 바람이 부는 대로 꽃잎을 뿌리고 있었다. 어부는 그 복숭아.. 2021. 5.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