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08 [따라만 와!] 2021 수능 국어 문법 13번. 용언의 활용 일단 기초가 없을 분들을 위해 '용언'부터 이야기해 보자. '용언'이란 '활용되는 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먹다'를 예로 들면, '먹으니, 먹고, 먹어서, 먹었으면..... '등등으로 쓰이는 것을 활용이라 한다.) 품사 공부가 부실해도 이 단어가 서술어로 쓰일 수 있는지를 생각해보면 용언인지 아닌지 알 수 있다. 서술어, 문장을 끝내는 바로 그 놈으로 쓰일 수 있다면 용언이다. (용언에는 동사와 형용사가 있지만 자세한 이야기는 생략.) 아무튼! 이런 용언의 활용에 대한 문제다. 꼭 이렇게 대놓고 용언의 활용을 묻는 문제가 아니더라도 용언의 활용을 착각해서 문법 문제를 틀리는 것은 흔하디 흔한 일이다. 어느 정도 문법 공부가 된 상태라도 용언의 활용에는 걸려 넘어지기 쉽다. 그럼 진심, 용언의 활용에.. 2021. 4. 20. 조선혁명선언, 단재 신채호 _ 원문 朝鮮革命宣言[조선혁명선언] 1 강도 일본이 우리의 국호(國號)를 없이하며, 우리의 정권(政權)을 빼앗으며, 우리의 생존적 필요조건을 다 수탈하였다. 경제의 생명인 산림·천택·철도·광산·어장……내지 소공업 원료까지 다 빼앗아 일체의 생산기능을 칼로 베며 도끼로 끊고, 토지세(土地稅)·가옥세(家屋稅)·인구세(人口稅)·가축세(家畜稅)·백일세(百一稅)·지방세(地方稅)·주초세(酒草稅)·비료세(肥料稅)·종자세(種子稅)·영업세(營業稅)·청결세(淸潔稅)·소득세(所得稅)……기타 각종 잡세가 축일(逐日) 증가하여 혈액은 있는 대로 다 빨아가고, 여간 상업가들은 일본의 제조품을 조선인에게 매개하는 중간인이 되어 차차 자본 집중의 원칙하에서 멸망할 뿐이요, 대다수 인민 곧 일반 농민들은 피땀을 흘리어 토지를 갈아, 그 종년(.. 2021. 4. 19. 준언어, 반언어, 비언어 ppullan.tistory.com/37?category=1003091 비언어적 표현 - 반언어적 표현 안녕하세요, 뿔난입니다~ 오늘 질문 받아서 생각난 김에 올립니다. 화법 부분의 내용인데 쉽고 간단하고 출제 빈도는 높지 않은 개념입니다만, 이 두 가지가 좀 헛갈리는 경우가 있어서요. 비언 ppullan.tistory.com 위의 링크는 예전에 올린 비언어와 반언어에 대한 내용이다. 그러나 2021년 3월에 시행된 수능모의고사 국어에서는 '준언어적'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튀어나왔다. 이것은 무엇인가? 어렵게 생각할 것 없다. 기존의 '반언어' 즉 '절반쯤 언어'인 것을 '준언어'로 바꾼 것 뿐이다. '반'의 한자어가 반대의 것을 뜻할 수 있으니 의미상 오해를 피하기 위해 용어를 바꾼 것으로 보인다. 다시.. 2021. 4. 18. 금강경 원문과 해석 개경게(開經偈) 무상심심미묘법 無上甚深微妙法 위 없이 매우 깊은 미묘한 법 백천만겁난조우 百千萬劫難遭隅 백천만겁 지나도록 만나기 어려워라 아금문견득수지 我今聞見得修持 내가 지금 듣고 보아 닦고 지니어 원해여래진실의 願解如來眞實義 여래의 참된 뜻을 알고자 합니다. 개법장진언(開法藏眞言) 옴 아라남 아라다(3번) 금강 마하 반야 바라밀경 (金剛摩訶般若波羅蜜經) 姚秦天竺三藏鳩摩羅什譯 요진(姚秦) 천축(天竺)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 한역 1. 法會因由分 법회인유분 如是我聞. 一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千二百五十人俱 여시아문. 일시불재사위국기수급고독원 여대비구중천이백오십인구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 고독원에서 큰 비구들 1,250명과 함께 계셨다. 爾時 世尊 .. 2021. 4. 17. 딸기잼 잘 만드는 법, 딸기잼 오래 보관하기 허름한 딸기를 허름한 가격에 준다면, 누구나 마음 속에 딸기잼을 꿈꾸게 될 것이다. 우리의 모든 시도가 성공적인 것은 아니지만.... 아무튼 잼을 만든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니 성공하기를 바라야 한다. 무릇 잼 만들기란 과일계의 김장과도 유사한 점이 있으니. 하여 기왕 만드는 잼이라면 실패없이 만들 수 있는 비법을 감히 공개한다. 1. 작고 단단한 딸기를 사야 한다. 크고 물렁한 딸기는 최악. 크고 단단한 딸기? 비싸기도 할 뿐더러 작고 단단한 딸기만큼 좋은 잼이 되지 못한다. 사실 작고 단단한 딸기를 구했다면 이미 잼은 성공한 것이다. 2. 딸기를 갈지 않는다! 잼을 만드는 전체 공정에 걸쳐 단 한 번도 핸드블렌더나 믹서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작은 딸기를 통째로 끓여서 만들거나 아니면 과도로 잘라서 .. 2021. 4. 17. [따라만 와!]2021 수능 국어 문법 11-12번 2020년 11월에 시행된 수능 국어의 11, 12번은 제시문을 읽고 푸는 문법 문제로, 문법 문제 중에서는 가장 까다로운 유형이다. 이런 문제를 풀 때, 제일 먼저 할 일은 제시문을 읽는 것이다. 출제자의 의도에 따라, 그리고 자신의 공부 정도에 따라 이 제시문 읽기는 간단히 끝낼 수도 있다. 즉 출제자가 난이도를 낮추고 싶은 욕망이 컸다면, 제시문은 익히 공부한 문법 내용일 수 있다. 그런 경우, 문법 내용이 잘 숙지된 학생이라면 제시문을 훑어보고, 대충 어떤 부분에 대한 설명인지만 보고 문제를 풀어도 괜찮을 수 있다. 그러나!!! 수능 정도의 시험에서는 읽을 필요가 없는 제시문이나 보기는 잘 만들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즉 문법 제시문의 경우 학교에서 배우지 않았으나, 학교에서 문법을 잘 .. 2021. 4. 7.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