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조의 형식을 보통 '3장 6구 45자 내외'라고 합니다.
이 말의 의미하는 바가 정확히 무엇인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제가 지식인에 올렸던 답을 가져왔습니다.
'장'은 4음보의 한 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4음보의 한 줄을 반으로 나누어 2음보씩 묶은 것은 '구'
'자'는 글자. 45자 내외는 45글자 정도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서,
동창이 밝았느냐 / 노고지리 우지진다
소치는 아이는 / 상기 아니 일었느냐
재 너머 사레 긴 밭을 / 언제 갈려 하느냐.
위 시조의 각 줄이 '장' 입니다. 첫줄은 초장, 가운데는 중장, 마지막은 종장이라고 합니다.
각 줄마다 중간에 / 표시가 있습니다. 구를 표시한 것입니다. 각 줄 당 2구씩, 전체는 6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 위 시조의 글자수를 세어보면, 초장이 15자, 중장이 14자, 종장이 15자로 전체 44자로 되어 있습니다.
45자 내외는 45자 보다 조금 모자라거나 조금 넘친다는 뜻이니까 45자 내외가 맞네요.
반응형
'수능국어 > 국어 용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쇄법 (0) | 2022.10.22 |
---|---|
부합 / 부합하다 / 부합하지 않다 (0) | 2021.12.13 |
시비(柴扉) / 사립문 / 자꾸 여닫고, 그 앞을 쓴다는 둥.... (0) | 2021.07.12 |
편집자적 논평 / 서술자의 개입 (0) | 2021.07.04 |
모방 / 미메시스 / mimesis (5) | 2021.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