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즐기는 자가 승자다 * 문학, 수능국어, 상식, * 고등국어, 수능국어 학습 및 과외 문의 freeerror@hanmail.net 카톡 smila4
  • 재미 없어도 재미 있고 싶다!
  • 불안한 만큼 흥미로운
수능국어/국어 용어들

준언어, 반언어, 비언어

by 뿔란 2021. 4. 18.
반응형

ppullan.tistory.com/37?category=1003091

 

비언어적 표현 - 반언어적 표현

안녕하세요, 뿔난입니다~ 오늘 질문 받아서 생각난 김에 올립니다. 화법 부분의 내용인데 쉽고 간단하고 출제 빈도는 높지 않은 개념입니다만, 이 두 가지가 좀 헛갈리는 경우가 있어서요. 비언

ppullan.tistory.com

위의 링크는 예전에 올린 비언어와 반언어에 대한 내용이다.

 

그러나 2021년 3월에 시행된 수능모의고사 국어에서는 '준언어적'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튀어나왔다. 

 

이것은 무엇인가? 

 

어렵게 생각할 것 없다. 기존의 '반언어' 즉 '절반쯤 언어'인 것을 '준언어'로 바꾼 것 뿐이다. 

 

'반'의 한자어가 반대의 것을 뜻할 수 있으니 의미상 오해를 피하기 위해 용어를 바꾼 것으로 보인다. 

 

다시 정리하자면, 

 

'비언어', '비언어적 표현'은 언어가 아니면서 의사소통에 활용되는 것, 즉 몸짓 등이다.

 

'준언어', '준언어적 표현'은 언어에 준하는 것으로, 말할 때의 목소리 톤, 억양 등이다. 

 

'반언어', '반언어적 표현'은 '준언어', '준언어적 표현'과 같은 말이다. 

반응형